본문 바로가기
PM

애자일이란?

by 홀리몰리치킨 2025. 3. 12.

애자일이란 무엇인가?

1970년대 까지는 워터폴(폭포수) 모델을 주로 사용했다. 이 워터폴 모델은 전통적인 방법으로 마치 폭포수처럼 위에서 아래로 흐르듯이 개발된다고 하여 붙여졌다. 워터폴 모델은 기획-디자인-개발-테스트-오픈으로 이루어지며 순차적으로 진행되기에 유연성이 떨어진다. 여기서 유연성이 떨어진다는 말은 중간에 문제가 생겨도 이전 단계로 돌아가기 힘들다는 뜻이다.

 

이런 워터폴 모델에 맞선 방법론인 애자일은 2001년 2월 11일 발표된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으로 출발한다.

재밌는 비화가 있는데 소프트웨어 개발자 17명이 전통적인 방식에 실망해 유타주의 스키 리조트에 모여 방법론을 개발했다. 이들은 비장한 선언을 했는데 선언문의 목록은 아래와 같다.

  1. 고객 만족을 최우선으로 생각합니다.
  2. 변화하는 요구 사항을 환영합니다.
  3. 작업을 자주 제공합니다.
  4. 비즈니스와 기술이 전체적으로 자주 함께 일합니다.
  5. 팀을 최대한 지원하는 사람 중심의 개발.
  6. 대면 커뮤니케이션을 선호합니다.
  7. 작동하는 소프트웨어는 성공의 주요 척도입니다.
  8. 지속적으로 일정한 속도로 작업하는 팀과 함께 지속 가능한 개발.
  9. 세부 사항, 기술적 우수성 및 좋은 디자인에 대한 관심.
  10. 단순함은 필수입니다.
  11. 자기 조직화 팀.
  12. 팀은 무엇을 더 잘할 수 있는지 정기적으로 반영합니다.

출처: What Is Agile Product Management: Guide To Processes & Roles

애자일 즉 agile은 민첩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이름에 걸맞게 2~3주 정도의 스프린트로 잘라서 서비스 기획과 시장 파악을 하는 것이다. 애자일의 핵심은 융통성(신속 대응),고객 중심(빠른 피드백),속도(스프린트),합작(정기적 회의),창의성(브레인스토밍,반복)

이다.참고로 스프린트는 단거리 달러기라는 뜻으로 정한 목표를 팀 전체가 최우선으로 개발하는 것을 뜻한다. 

 

애자일 모델의 장점으로는 개발과정이 빠르고 유연하며 문제가 생겼을 경우나 시장반응이 좋지 않을 때 빠르게 변경이 가능하다.

단점으로는 스프린에 경험있는 숙련된 사람이 있어야한다는 점이 필요하다 또한 개인이 아닌 팀이 중심이 되므로 공통작업,회의 때문에 부차적인 일이 목적이 되는 일이 생길 수도 있다.

출처: Mastering Agile Product Management: The Complete Guide

애자일 모델의 종류 하위에는 여러가지 방법론이 존재한다.유명한 프레임워크에는 스크럼,칸반이 존재한다.

스크럼은 미식축구의 용어로 서로 팔을 걸고 상대 팀을 밀치는 대형이다. 짧은 개발주기( 1~4주)로 우선순위를 정해 그 우선순위에 집중하는 방식이다. 더 자세하게는 5단계로 나뉜다.

 

-스프린트 계획,백로그

-스프린트 백로그 작성

-스프린트 미팅

-스프린트 리뷰

-스프린트 회고

 

백로그란 제품의 기능이나 요구사항의 목록,우선순위를 말한다. 스프린트 미팅,리뷰,회고는 빠르게 달리는 여정에서 목적지가 틀리지 않았는가 확인하는 과정이다.

출처: Mastering Agile Product Management: The Complete Guide

칸반은 카이젠 방식으로 유명한 도요타 생산 방식에서 유래되었다. 사람,업무종류에 칸을 나누고 현재 업무 현황이 한눈에 보드에 보이게 만든 시스템이다.

이는 업무 흐름을 시각화하고 측정 관리할 수 있으며 개발 프로세스에서 병목사항을 방지한다.

 

칸반과 스크럼의 차이에는 스크럼은 스프린트에 집중하여 우선순위를 정한다음 주기별 달리고 나서 검토하는 느낌이라면 칸반보드는 주기없이 계속해서 진행되는 방식이다.  단 애자일 방법론에 관계없이 애자일은 백로그 생성,스프린트 계획 및 리뷰,수용할 수 있는 기준과 회고,매일 진행되는 15분의 회의,회고,빠른 배포와 시장반응이 원칙이다.

이 외에도 듀얼트랙이라는 방법론이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아래와 같다.

 

주기 0:

고객 데이터를 계획하고 수집합니다. 이 첫 번째 단계는 두 트랙 모두에 할당되지 않았습니다. 이중 트랙 애자일에는 초기 검색 단계에 있는 모든 사람이 포함됩니다.

주기 1:

  • 개발자는 설계에서 입력이 거의 필요하지 않은 기본 코딩을 시작합니다
    • 디자이너는 Cycle 2를 위한 디자인 작업에 착수합니다.
      • 제품 관리자가 주기 3을 위한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주기 2:

  • 개발자는 1차 디자인을 구현합니다.
    • 설계자는 3번째 데이터 세트를 기반으로 Cycle 3 설계에 대해 작업합니다.
      • QA 테스터는 사이클 1 코드를 검토합니다.
        • PM은 주기 4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주기 3:

  • 개발자는 2차 디자인을 구현합니다.
    • 설계자는 3번째 데이터 세트 세트를 기반으로 Cycle 4 설계에 대해 작업합니다.
      • QA 테스터는 사이클 2 코드를 검토합니다.
        • PM은 주기 5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원하는 결과에 도달할 때까지 주기를 반복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애자일은 장단점이 존재하지만 요약하자면 '최대한 빨리 실패하기'라고 볼 수 있다. 성공 확률이 10%라면 계속해서 반복하면서 17% , 25% 이런식으로 시장반응을 보며 개선하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PM/PO의 역할은 뭘까 고민해봤다.

 

레딧에서 이러한 과정에서 PO의 역할은 양치기 개와 비슷하다는 답변을 보았다. 마치 보더콜리가 양들을 모아 최종 목표로 몰아넣듯이 자연스럽게 팀원들이 목표를 향해 몰아부쳐지는지 모르게 몰아부쳐야 한다는 것이다.

 

 

참고 문헌 및 자료

- Agile 제품 관리 마스터하기: 전체 가이드

 

Agile Product Management: A Study Guide for PMs

This approachable guide to Agile Product Management explains the history, processes, and frameworks that define this foundational Product-focused philosophy.

productschool.com

- Agile을 처음 접하고 제품 소유자라는 직책에 압도당함: r/agile

 

From the agile community on Reddit

Explore this post and more from the agile community

www.reddit.com

- Agile Product Management란 무엇인가: 프로세스 및 역할 가이드

- [PM] 애자일 프레임워크 Scrum, Kanban + Sprint

 

[PM] 애자일 프레임워크 Scrum, Kanban + Sprint

애자일 프로세스는 민첩한 기민한이라는 뜻으로 짧은 주기의 업무 사이클을 반복하여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방법론을 의미한다. 애자일 프레임워크에는 대표적으로 스크럼, 칸반이

velog.io

- 토스, 넥스트 애자일을 고민하다 - 금융이 알고 싶을 때, 토스피드

 

토스, 넥스트 애자일을 고민하다 : 토스의 프로덕트 매니저를 소개합니다 - 금융이 알고 싶을 때,

토스의 40여개 제품은 제각기 다른 사이클에 놓여 있습니다. 이제 갓 사용자들을 만나기 시작한 경우가 있는가 하면, 송금과 신용조회처럼 덩치 큰 제품도 있죠. 토스의 프로덕트매니저(PM)는 충

blog.toss.im

- 애자일한 PM이 되고 싶어요

 

애자일한 PM이 되고 싶어요

PM은 애자일의 도르래를 돌리는 사람이다 1. 스크럼과 PM 애자일에 대한 내용을 학습으니, 그중에서도 대표적인 방식인 **스크럼(Scrum)**을 집중적으로 공부해보자. 스크럼이란 팀이 중심이 되어

ericshim.tistory.com

- 우당탕탕 PM 일기 : 애자일과 워터폴. 안녕하세요! | by Joo | TOKTOKHAN.DEV — TEAM

 

우당탕탕 PM 일기 : 애자일과 워터폴

안녕하세요!

blog.toktokhan.dev

[PM] 애자일 프레임워크 Scrum, Kanban + Sprint

'P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로스 해킹이란?  (1) 2025.03.17
팀 회고  (0) 2025.03.14
아이스브레이킹이 왜 필요한가?  (0) 2025.03.13
소프트 스킬이란?  (1) 2025.03.11
PM이란?  (1) 2025.03.10